• 최종편집 2023-11-08(수)
 

제목 : 제가 좀 별나긴 합니다만

작가 : 쥘리 다셸, 카롤린

출판 : 이숲


마그리뜨는 자신이 다른 많은 사람들과 다르다는 걸 알고 있다. 그는 애인도 있고, 직장생활도 하지만, 날마다 일상을 꾸려가는 일이 힘겹다. 20대 후반의 그녀가 살아가는 방식은 매우 단조롭고 규칙적이어서 건조하게 보이지만, 정작 마그리뜨에게는 가장 편안한 삶의 방식이다.

직장에서, 애인과, 이웃과의 소통에 문제가 심각하다는 걸 자각한 마그리뜨는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을 검색하고 자폐와 관련한 책을 읽기 시작한다. 그리고 자신의 증상이 아스퍼거 증후군과 매우 비슷하다는 걸 알고는 정식으로 의사와 상담하고 진료를 통해 아스퍼거 자폐인이라는 판정을 받는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언어 지체나 지적 장애가 없는 가벼운 자폐의 일종이라고 정의한다. 1944년 오스트리아의 정신과의사 한스 아스퍼거가 처음 보고 했다는데, 한국에서는 2005년이 되어서야 이 증상이 자폐로 인정되었다고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과 관련해 '나무위키'의 내용을 보면, 정신과의사 아스퍼거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히틀러를 지지하는 의사였고, 정신병자는 물론 유대인, 집시 등 당시 독일의 극우정당이 인종청소를 하려는 정책을 지원했다는 의심을 강력하게 받는 사람이라고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명명한 사람은 정작 아스퍼거 본인이 아니라 영국 의사 로나 윙이었는데, 1981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보고했으며, 로나 윙이 인용한 '칼 융'의 정형화를 비판하면서 미셸 푸코의 책 '정신의학의 권력'으로 이어지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아스퍼거 자폐인은 일상 생활을 하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사람들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자폐 스펙트럼의 약한 쪽에 속해 있으며, 그동안 장애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저 좀 별난 사람이라거나, 어딘가 좀 모자란 사람 정도로 취급 받는 사람이 검진을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판정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 작품은 글을 쓴 작가 본인이 아스퍼거 자폐인으로 판정을 받기 전과 받은 이후의 삶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묘사하고 있다. 아스퍼거 자폐인으로 판정 받기 전의 주인공은 자신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상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사람들과의 소통에 고통받는다. 하지만 스스로 문제를 찾기 시작하고, 상담과 진찰을 통해 아스퍼거 자폐인 판정을 받은 이후부터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알게 되면서 삶에 자신감이 생기고, 자신의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 시작한다.

이 작품이 작가의 경험을 다룬 것이라는 전제로 본다면, 퍽 부러운 부분이 많다. 주인공 마그리뜨는 회사에 다니고 있고, 자신이 아스퍼거 자폐인 판정을 받고, 장애인 등록을 한 다음에도 회사에서 아무런 불이익을 받지 않을 뿐아니라, 오히려 장애인이니까 자신이 업무를 잘 볼 수 있도록 회사의 환경을 바꿔달라고 요구하는 내용이 있다. 한국에서는 이런 일이 과연 가능할까. 프랑스에서도 아스퍼거 자폐인 판정을 받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임을 말하고 있지만, 일단 장애인 판정을 받으면 사회구성원들이 그 장애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편견을 갖지 않고 바라본다는 점은 선진국 문화의 장점이다.

아스퍼거 장애인의 경우,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 장애인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냥 '이상한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차라리 장애인이라는 판정을 받으면 당사자도 좋고, 그를 바라보는 사람도 확실한 구분이 되어 어떻게 대해야 할지 판단이 서지만, 장애와 정상의 경계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많은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자신이 아스퍼거 증후군인 줄 모르는 사람들-은 그래서 더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지나 않을까 생각한다.

 

다운로드 (12).jpg

BEST 뉴스

전체댓글 0

  • 3090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제가 좀 별나긴 합니다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